브랜드 커뮤니티의 marketing 전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0 20:42
본문
Download : 브랜드커뮤니티의.hwp
2. 브랜드 커뮤니티 활용measure(방안)
순서
1. 브랜드 커뮤니티 활성화 장애요인
최근 보편화된 온라인(online) 커뮤니티 활동으로 인하여 과거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던 기업의 마케팅 부분에서도 온라인(online) 커뮤니티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따 인터넷 기반의 온라인(online)커뮤니티를 이용하는 마케팅은 전통적인 방법에 비하여 접근성, 상호작용성, 비용측면에서보다 높은 능률을 제공할 수 있따 또한, 제품촉진, 판매경로, 시장도달시간, 고객서비스, 상표이미지, 고객관계 등과 같은 기존의 마케팅활동을 improvement․변환하고, 신제품 개발과 새로운 사업에 대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따
학회지 제20권1호, 2002.
3호, 1999. 9.
1. 브랜드 커뮤니티의 개념 및 유형
Download : 브랜드커뮤니티의.hwp( 97 )
Ⅱ. 브랜드 커뮤니티의 동향 및 결과
Ⅰ. 서 론
Ⅳ. 결 론 Ⅰ. 서 론
2. 국내 브랜드 커뮤니티 개설동향
[2] , 「marketing 에서 커뮤니티 관념의 도입과 활용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제7권제
[1] 강명수, 「고객관계관리를 위한 online 브랜드 커뮤니티 구축」, marketing , 2004. 3.
브랜드 커뮤니티의 marketing 전략
이와 같이 소비자들은 인터넷이라는 가상공간을 통해서 제품과 이를 판매한 기업에 대한 칭찬과 불만을 자유롭게 공유하게 되고, 인터넷에 게시된 메시지들은 여러 곳으로 확산되는 구전(word of mouth)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브랜드 marketing 커뮤니티 전략 브랜드marketing / 참 고 문 헌
설명
[7] 임종원, 「커뮤니티 marketing 과 고객공유 marketing 」, marketing , 2003. 1.
이처럼 온라인(online) 커뮤니티는 단순한 정보교류나 친목도모의 차원을 넘어,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능동적인 effect(영향) 력을 발휘하고 있따 일례로 日本(일본) 캐논(Canon)사로부터 전문가용 디지털카메라를 수입하여 판매해오던 LG상사는 카메라의 자동초점 기능에 결함이 있다는 소비자들의 산발적인 지적을 무시하다가 인터넷 동호회 중심의 불매운동으로 커다란 소동을 겪은
2호, 2004. 2.
3. 브랜드 커뮤니티 활동
후, 고객에 대한 애프터서비스를 크게 강화한 바 있따 또한, 기아자동차의 경우 인터넷 동호회로부터 신형 자동차에 적용된 최신 변속장치에 대한 불만이 잇따라 제기되자 이들의 요구를 일부 수용하였다. 이와 같이 온라인(online) 커뮤니티는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서 수동적이었던 소비자들을 시장흐름에 effect(영향) 을 줄 수 있는 능동적인 소비자 커뮤니티의 형태로 진화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해당제품을 가진 기업들은 인터넷 게시판에 올라오는 글들을 모니터하고, 이들의 여론을 파악하여 제품개발에 활용하지 않을 수 없게 된 것이다.
브랜드 마케팅 커뮤니티 전략 브랜드마케팅
[9] Gil McWilliam, “B
2004-7-1 37
특히 소비자 커뮤니티의 구체적이고 발전적인 한 가지 형태를 브랜드 커뮤니티(Brand Community)라 할 수 있는데, 특정 브랜드를 중심으로 온라인(online)으로 형성되어 관심과 경험을 공유하고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곳이 온라인(online) 브랜드 커뮤니티이다. 특히, 이들 커뮤니티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상업적 정보 원천에서는 얻기 어려운 특정 제품의 품질, 사용․관리방법 등이 소비자 경험을 바탕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정보 수용도가 높게 나타난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4] 성영신·임성호, 「브랜드 커뮤니티 활동 왜 하는가」, 광고학연구 제13권 5호, 2002.
다. 또한, 인터넷이라는 매체의 특성으로 오프라인상의 구전과는 달리 전파력이나 접근가능성이 훨씬 용이하고, 양적으로도 월등히 앞서기 때문에 다른 무엇보다도 소비자에 대한 effect(영향) 력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따
Ⅲ. 결과 적인 브랜드 커뮤니티 책략
online 커뮤니티를 이용한 브랜드 marketing 전략
[3] 박정현·이기춘, 「가상공동체에서의 소비자 정보활동과 소비자만족 연구」, 한국가정관리
4. 브랜드 커뮤니티의 결과





[5] 송창석·신종칠, 「누리망 상의 상호작용성 제고방법에 관한 연구」, marketing 연구 제14권제
[6] 심재희·김장용, 「커뮤니티로 승부하는 브랜드 전략」, 이디자인, 2004.
2001.
[8] 조동기·오영석·조희경, 사이버공간에서의 여론형성과 집합행동,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브랜드 마케팅 커뮤니티 전략 브랜드마케팅 / 참 고 문 헌 [1] 강명수, 「고객관계관리를 위한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구축」, 마케팅, 2004. 3. [2] , 「마케팅에서 커뮤니티 개념의 도입과 활용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제7권제 2호, 2004. 2. [3] 박정현·이기춘, 「가상공동체에서의 소비자 정보활동과 소비자만족 연구」, 한국가정관리 학회지 제20권1호, 2002.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브랜드 마케팅 전략 2004-7-1 37 [4] 성영신·임성호, 「브랜드 커뮤니티 활동 왜 하는가」, 광고학연구 제13권 5호, 2002. [5] 송창석·신종칠, 「인터넷상의 상호작용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마케팅연구 제14권제 3호, 1999. 9. [6] 심재희·김장용, 「커뮤니티로 승부하는 브랜드 전략」, 이디자인, 2004. [7] 임종원, 「커뮤니티 마케팅과 고객공유 마케팅」, 마케팅, 2003. 1. [8] 조동기·오영석·조희경, 사이버공간에서의 여론형성과 집합행동,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1. [9] Gil McWilliam, “B
본 고에서는 기업들의 새로운 마케팅 도구로 대두되고 있는 브랜드 커뮤니티에 대한 개념, 유형, 국내동향 등의 기본적인 내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주요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브랜드 커뮤니티를 책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measure(방안) 에 대한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