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군비통제 연구: 정향과 Task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0 08:02
본문
Download : 한국의 군비통제 연구 정향과 과제.hwp
2. 연도별/주제별 연구정향 分析(분석)
1988년에서 1996년에 이르는 기간중 국내 군비통제 관련 연구물은 총 259건에 달하고 있어 국내 안보문제 연구에 상당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따 이를 주제별로 보면, 군비통제에 대한 theory(이론)적 논의 13%, 남북한 재래식 군비통제 29%, 남북한 대량살상무기 통제 19%,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및 군사통합대안 12%, 한미 무기이전 통제 4%, 지역군비통제 논의 11%, 국제군비통제 논의 12% 등으로 나타나고 있따 따라서 재래식 및 대량살상무기에 대한 남북한간의 군비통제 대안에 대한 논의가 전체의 1/2 정도를 차지하여 그 동안 가장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었던 주제임을 …(생략(省略))
한국의 군비통제 연구: 정향과 Task






최근 1988~1996년 기간중 이루어진 국내 군비통제 연구결과들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이 자료(資料)들을 몇 개의 쟁점주제로 대별하여 database화함으로써 그간의 연구성과를 종합하고 연구정향의 change(변화)추이를 analysis하여 향후 연구방향과 Task 를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이 관련된 국제군비통제 활동에 대한 연구이다. , 한국의 군비통제 연구: 정향과 과제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한국의 군비통제 연구 정향과 과제.hwp( 13 )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1. 문제의 제기
Ⅱ. 군비통제 연구정향
1. 分析(분석)의 범위 및 방법
2. 연도별/주제별 연구정향 分析(분석)
Ⅲ. 결 론: 향후 과제課題
다섯째, 직·간접으로 한국 政府(정부)의 활동과 관련이 있는 지역군비통제에 대한 연구이다. 유럽의 사례(instance)연구를 통하여 동북아지역에서의 지역안보레짐의 구축과 이를 통한 지역군비통제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는 연구, 「아시안지역안보포럼」에서의 동아시아 국가들의 협력안보 전개방향 및 한국의 참여현재상황, 동북아 다자안보체제의 구축대안 및 쟁점 등에 대한 논의들이 이러한 범주에 포함된다된다. 이상의 주제에 따른 연구물의 분류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 〈표 1〉과 같다.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최근 1988~1996년 기간중 이루어진 국내 군비통제 연구결과들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이 자료들을 몇 개의 쟁점주제로 대별하여 database화함으로써 그간의 연구성과를 종합하고 연구정향의 변화추이를 분석하여 향후 연구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여기에는 국내 유수의 학회논총, 주요저널, 대학논문집, 공개된 정책보고서 등이 포함되었다.
이상의 분류기준에 따라 分析(분석)의 대상이 될 data(資料)집(source)은 군비통제에 관한 연구물 중 대외적으로 공개된 data(資料)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다.
동 data(資料)집들을 바탕으로 내용分析(분석)(Content Analysis) 방법을 응용하여 1988~1996년 기간의 국내 군비통제 연구결과를 총 7개 주제와 각 주제와 따른 세부항목으로 구분하여 코딩 및 database화한 결과는 다음 〈표 2〉와 같다. 국제 핵통제 체제, 미사일 기술 통제체제, 화생무기 통제체제, 국제 재래식무기 통제체제 등에 대한 현재상황과 한국의 대응대안에 대한 연구들이 이에 포함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