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a경제 급부상과 동북아 지역 협력 확대 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00:21
본문
Download : 이가.hwp
다. 한국은 노동집약적⇒ 기술집약적 ⇒ 첨단기술산업 순으로 구조고도화가 진전되고 있으나, 중국은 기술집약적산업과 첨단기술산업으로의 구조고도화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아
(2) 한·중 교역구조 비교
순서
설명
Ⅳ. 동북아 지역의 협력 확대 방향
Ⅲ. 동북아 지역의 중요성
china경제급부상과동북아지역협력확대방향 동북아지역협력 china경제 동북아지역의중요성 /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Ⅰ. 서론
OECD 분류기준에 의하여 한국 및 중국의 양국간 산업구조와 교역구조를 재분류, 비교 分析(분석)하여 이를 통해 현재의 결점과 향후 바람직한 협력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3. 한·중 산업 및 교역구조 비교
Ⅱ. 중국의 부상과 그 영향
china경제 급부상과 동북아 지역 협력 확대 방향
중국경제의 고도성장과 WTO 가입으로 인해 향후 중국의 산업, 교역구조는 계속 고도화될 것으로 전망되며 시장environment(환경) 도 크게 變化(변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Download : 이가.hwp( 77 )
중국경제급부상과동북아지역협력확대방향 동북아지역협력 중국경제 동북아지역의중요성 / ()
(1) 한중 산업구조 비교
한국과 중국 양국의 수출구조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반면, 수입구조는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아 이는 중국과 한국 모두 조립가공산업 위주의 수출화 戰略을 구사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주력수출산업으로 보면, 한국은 중고위 기술산업이 주력인 반면, 중국은 저위기술산업 위주이기 때문에 아직도 차이가 있다 하겠다.
중국경제급부상과동북아지역협력확대방향 동북아지역협력 중국경제 동북아지역의중요성





한국과 중국은 산업구조면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으나 중국의 추격이 매우 빠른 편이다.
주력산업에 있어 한국은 중저위기술, 중고위기술산업(전체의 60.4%)으로, 중국은 저위기술, 중저위기술산업(전체의 62.5%)으로 무게 중심이 이동 중이다. 지난 5년 간 중국에서 비중이 크게 늘어난 업종들은 전자, 기계 ,석유 등이며, 저위기술산업은 크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반면에, 수입은 양국 모두 유사한 형태로 중고위기술과 ICT제조업에 대한 수입비중이 높은 편이다. 즉, 중국은 중저위기술산업의 수출화가 아직은 미진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