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연어 정보의 analysis 응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17:37
본문
Download : 한국어 연어 정.hwp
그것은 그 대상어와 긴밀한 공기 관계를 이룬다는 점에서, 이웃 자리에 오는 어휘 이상으로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주기도 할 것이다. 이 연구의 언어 資料는 1,000만 어절로 된 <고려대학교 한국어 말모둠 1(Korea-1 Corpus)>을 바탕으로 하여, 여기에 연어 표현 연구를 위해 주어, 목적어 및 보어, 수식어 표지 붙이기 작업을 하였다. 논항 관계는 서술어의 주어와 목적어 그리고 보어를 대상으로 하며, 수식 관계는 명사의 수식어(관형어), 동사 및 형용사의 수식어(부사어)를 고찰하는 것이다. 연어 관계를 찾을 대상어는 체언 100개와 용언 100개로, 이는 고빈도 순서를 원칙으로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대규모의 한국어 資料에서 나타나는 연어 표현을 통계화하고 그 결과 내용을 분석 설명하였다. 연어의 개념(槪念)은 아직 확고하게 definition 되지 않았지만, 이웃하여서 자주 같이 쓰이는 어휘들이나 출현 環境에 공기 제약성을 크게 갖는 어휘들이 연어의 대상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어 연어 정보 언어 data(資料)의처리 인접어형의연어성 / (한국어 연어 정보)
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그러나 어떤 대상어(node)에 대하여 이웃에 자주 등장하는 어휘가 그 단어에 대해 연어성이 높다고 한다면, 인접성과 관계 없이 그 단어와 함께 하나의 문장에 자주 등장하는 어휘에도 높은 연어성을 인정해 줄 수 있다고 본다.





한국어 연어 정보 언어 자료의처리 인접어형의연어성
4. 공기 관계와 연어성
한국어 연어 정보의 analysis 응용
설명
2. 언어 資料의 처리
1. 서론
5. 결론
한국어 연어 정보 언어 자료의처리 인접어형의연어성 / (한국어 연어 정보)
3. 인접어형의 연어성
Download : 한국어 연어 정.hwp( 21 )
이 연구는 한국어에서 나타나는 연어(collocation) 관계 표현의 정보를 살피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한 문장 안에서 특정한 대상어와 공기하는 어휘들을 살피되, 이웃하는 자리에 오는 어휘들과, 논항이나 수식 등 문법적인 관계를 갖는 어휘들을 모두 다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