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사회교육론] 학습의 전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4 18:53
본문
Download : [일반사회교육론] 학습의 전이.hwp
예컨데, 기억이라는 능력은 어떤 내용의 암기를 통해 개발되었든 다른 내용을 기억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이 교과들은 그 밖의 다른 능력들을 발달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내재적인 속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교과를 통해서 능력이 훈련되면 학교 밖에서나 일상생활에까지 전이가 잘 일어난다고 믿었다. 특히 Thorndike에 의해 심각한 도전을 받게 되는데 1902년과 1925년의 일련의 발표를 통해 그는 형식도야설을 부정하였다. 1800년대에는 헬라어, 라틴어, 수학 등이 가장 중요한 교과목으로 간주되었으며, 이 과목들은 마음의 단련과 추리 능력의 증지에 가장 유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러한 형식도야설이 학교교육에 미친 影響(영향)은 지대하였다. 그 결과는 어떤 특정한 교과를 배우면 일반적인 지력이 향상된다는 기대가 헛되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기억력의 전이에 대한 William James의 연구는 많은 양의 시를 기억하는 훈련을 통해 암기력이 개발되는 지, 즉 암기력의 일반적 전이가 일어나는 지를 연구했다.
그러나 능력심리학과 형식도야설에서는 그러한 능력들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과학적인 증거가 없다. 즉 경험적이고 실증적인 객관적 증거가 없다는 것이다. 1925년 연구에서 그는 history(역사) , 기하, 라틴어 등의 도야 가치가 높은 교과를 배운 학생들과 또 한편으로 부기, 속기, 타자 같은 교과를 배운 학생들에게 1년을 전후하여 동형지능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지능점수의 자연적 증가를 고려하여 두 집단 사이에 지적 발달상의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그러나 암기훈련이 기억력을 개…(drop)
레포트/인문사회
학습의 전이에 대해 說明(설명) 한 리포트입니다. 학습의 전이와 종류, 학습의 전이에 대한 theory(이론)들에 대해 說明(설명) 했습니다.학습의전이 , [일반사회교육론] 학습의 전이인문사회레포트 ,
![[일반사회교육론]%20학습의%20전이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C%EB%B0%98%EC%82%AC%ED%9A%8C%EA%B5%90%EC%9C%A1%EB%A1%A0%5D%20%ED%95%99%EC%8A%B5%EC%9D%98%20%EC%A0%84%EC%9D%B4_hwp_01.gif)
![[일반사회교육론]%20학습의%20전이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C%EB%B0%98%EC%82%AC%ED%9A%8C%EA%B5%90%EC%9C%A1%EB%A1%A0%5D%20%ED%95%99%EC%8A%B5%EC%9D%98%20%EC%A0%84%EC%9D%B4_hwp_02.gif)
![[일반사회교육론]%20학습의%20전이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C%EB%B0%98%EC%82%AC%ED%9A%8C%EA%B5%90%EC%9C%A1%EB%A1%A0%5D%20%ED%95%99%EC%8A%B5%EC%9D%98%20%EC%A0%84%EC%9D%B4_hwp_03.gif)
![[일반사회교육론]%20학습의%20전이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C%EB%B0%98%EC%82%AC%ED%9A%8C%EA%B5%90%EC%9C%A1%EB%A1%A0%5D%20%ED%95%99%EC%8A%B5%EC%9D%98%20%EC%A0%84%EC%9D%B4_hwp_04.gif)
![[일반사회교육론]%20학습의%20전이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C%EB%B0%98%EC%82%AC%ED%9A%8C%EA%B5%90%EC%9C%A1%EB%A1%A0%5D%20%ED%95%99%EC%8A%B5%EC%9D%98%20%EC%A0%84%EC%9D%B4_hwp_05.gif)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순서
Ⅰ. 학습의 전이와 종류
Ⅱ.학습의 전이에 대한 理論(이론)들
1. 능력심리학과 형식도야설
2. 동일요소설
3. 일반화설
4. 형태이조설
Ⅲ. 結論
형식도야설에서 형식이라는 말은 구체적인 내용보다는 형식으로서의 능력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즉 교과를 배울 때 그 교과에 담겨있는 특수한 내용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내용을 담고 있는 형식, 즉 그 교과가 담고 있는 일반적 능력을 배운다는 것이다.
[일반사회교육론] 학습의 전이
학습의전이
Download : [일반사회교육론] 학습의 전이.hwp( 32 )
다. 따라서 이러한 심리학적 접근은 한계에 도달하게 되었다.학습의 전이에 대해 설명한 리포트입니다. 따라서 형식도야설에서 표방하는 전이는 매우 일반적인 전이이다. 학습의 전이와 종류, 학습의 전이에 대한 이론들에 대해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