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문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5 02:52
본문
Download : 인간과 문화.hwp
인간과문화
Ⅰ. culture의 이해
1. culture란 무엇인가?
2. culture의 양면적 기능
Ⅱ. culture를 바라보는 관점들
1. 진화론적 시각
2. 상대론적 시각
3. 비교론적 시각
4. 총체론적 시각
Ⅲ. culture의 속성
1. culture의 학습과 축적성
2. culture의 상징성
3. culture의 공유성
4. culture의 보편성과 다양성
Ⅳ. culture변동의 원인(原因)과 과정
1. culture의 발명과 발견
2. culture의 전파와 자극전파
3. culture접변
Ⅴ. culture의 다양성과 지배
1. culture지체와 기술지체
2. 하위culture와 대항culture
3. culture적 구별과 지배
4. 민족culture와 culture제국주의
Ⅵ. culture의 다양성과 culture민주주의를 위하여
Ⅰ. culture의 이해
1. culture란 무엇인가?
오늘날 `culture`라는 말은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어지고 있다아 영어의 `culture`는 culture라는 뜻과 경작하다 라는 뜻이 있다아 그리고 그 어원이 되는 라틴어 `colere`는 17~18세기에 땅을 경작한다는 뜻으로 쓰이다가 `정신의 계발` 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culture와 사회의 다른 영역들과의 관계를 생각할 때는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면서도 서로 구분되는 영역으로 이해하는 것이 analysis적으로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아
2. culture의 양면적 기능
사회화 과정과 마찬가지로 culture도 인간에게 사회가 필요로 하는 자아와 인성을 형성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를 `culture화`라고 한다. 이러한 culture 관념들을 세가지 방법으로 재구성 하면 첫 번째는 생활양식 또는 실천으로서의 culture 이고, 두 번째는 의미형성적 실천 또는 텍스트로서의 culture이며, 세번째는 의식 관념 가치 규범 들을 포관하는 이데올로기로서의 culture이다. culture인류학에서 culture를 관념화하고 연구하는 방식은 크게 유형론 또는 통합체론 그리고 맥락론이 있다아 현실적으로 culture는 보편적인 면과 맥락적이고 특수한 면을 모두 지녔다고 할수 있으므로 두가지 관념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아
culture 관념을 사회 과학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윌리엄스의 방식을 빌어 체계적으로 定義(정의) 하면 첫째, 그것은 `지적 정신적 심미적인 계발의 일반적 과정` 이며, 둘째 `한 인간이나 시대 또는 집단의 특정한 생활양식`이며, 셋째, `지적인 작품이나 실천행위, 특히 예술적인 활동`이다.인간과문화 , 인간과 문화인문사회레포트 ,
다. `culture`는 주로 `정신culture`를 일컫는 말이었고, ``culture인`은 culture적으로 계몽된 인간`을 일컫는 말이었다.
Download : 인간과 문화.hwp( 93 )




인간과 문화
순서
문화의 속성과 문화변동의 原因 및 과정, 문화의 다양성에 마주향하여 조사하였습니다.
보편 culture는 늘 보편적인 성격을 띠는 것…(省略)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문화의 속성과 문화변동의 원인 및 과정, 문화의 다양성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다만 사회화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과정에 주목하고, culture화는 그 내용에 주목한다.
culture는 다양한 사회적 현상들과 연관되어 있다아 그래서 culture인류학에서 culture는 정신culture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인류가 후천적 인위적으로 이루어놓은 생활양식과 사고 양식을 총칭한다.